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

악성문자 차단 X-ray 서비스 정부 도입 9일 시범 운영 시작

반응형

스미싱, 이제는 '받기 전'에 차단한다!

2025년 4월 9일부터 '악성문자 사전차단 서비스(X-ray)'가 시범 운영을 시작합니다.
이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이 협력하여 개발한 것으로, 스미싱 등 악성문자를 발송 단계에서 원천 차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
출처:악성문자 차단 서비스(X-Ray) 개념도.<대한민국 정책브리핑>

🔍 기존 방식의 한계

그동안 스미싱 문자를 받으면 우리가 해야 했던 대응은 다음과 같았습니다.

  •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이나 문자로 신고
  • KISA가 악성 여부를 분석
  • 발신번호 또는 URL 차단 조치
  • 하지만 이미 문자를 받은 사람은 스스로 판단·신고해야 함

이런 방식은 신고가 늦거나 실수로 클릭하면 개인정보 유출, 금전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아쉬운 점이 많았습니다.


💡 새로운 서비스, X-ray는 어떻게 다를까?

X-ray 서비스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전에 AI 기반 필터링을 통해 스미싱 가능성이 있는 메시지를 차단합니다. 즉, 사용자에게 도착하기도 전에 ‘컷’ 되는 것이죠!

💼 시범 운영 어떻게 되나?

  • 🏢 시범 도입: 문자발송 전문업체 ㈜에스엠티엔티
  • 📊 기반 기술: KISA의 스미싱 확인서비스 운영 경험 + 축적된 기술력
  • ⏰ 운영 기간: 2025년 4월 9일부터 (시범 운영)

출처:pixabay

💬 정부의 기대와 향후 계획

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:

“이번 X-ray 서비스 시범 운영은 정부와 민간 기업이 함께 만든 디지털 범죄 대응의 모범 사례다. 앞으로도 국민이 스미싱 불안 없이 안심하고 디지털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산해 나가겠다.”


📌 정리하면?

항목기존 대응X-ray 서비스
차단 시점 문자 수신 후 문자 발송 전
사용자 부담 신고·판단 필요 없음
보안 효과 제한적 예방적 & 선제적

🛡️ X-ray 서비스, 우리 생활을 어떻게 바꿀까?

  • 더 이상 스미싱 문자 보고 놀라지 않아도 됨
  • 어르신, 디지털 취약계층 피해 예방 가능
  • 스마트폰 보안 걱정 ↓, 신뢰도 ↑

📲 마무리하며

점점 정교해지는 디지털 범죄에 맞서, 이제는 선제 대응이 핵심입니다.
X-ray 서비스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방패가 될 것입니다.

앞으로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A의 디지털 민생 안전 정책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.

<자료출처=정책브리핑 http://www.korea.kr>

 

함께보면 좋은 글

2025.04.12 - [건강] - 뇌졸중 전조증상, 절대 무시하면 안 되는 신호

반응형